[마음이 편한 혼자 호캉스]

쉐라톤 서울 디큐브시티 호텔

Sheraton Seoul D Cube City Hotel

- 클럽룸(Club Room) -

(2018.09.02.-03.)


최근 발병한 호캉스 병을 이기지 못하고

6월 파크하얏트 서울의 대실망과

연이은 호캉스들이 100% 만족을 시켜주지 못하여

끊임없는 갈증이 생겼다.


그래서 또 지른 혼자 호캉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쉐라톤 디큐브시티를 다녀와서

그 갈증이 거의 해소됐다. 

Happy~!


연이은 호캉스로

통장 잔고가 바닥을 드러내면서

좋은 호텔 레스토랑에서 

멋진 식사 한끼를 할 여유가 없었다.


그래서

클럽룸을 예약하고

식비를 최대한 아끼기로 했다.


일요일 체크인이라 저렴하게

Club Room, 1 King Bed

Orbitz에서 USD 197.82로 결제.

이번엔는 적립금 orbucks를 쓰지 않았고,

프로모션 코드 할인도 받지 않는 호텔이라서

특별히 할인 받은 것은 없었다.


지하 1층 엘리베이터 표지판.


지하철을 타고 와서

지하 1층의 전용 익스프레스 엘리베이터를 탔다.


엘리베이터 대기 장소에 있던

쉐라톤 로고.


로고 하나는 잘 만든 것 같다.

ㅋㅋㅋ


익스프레스 엘리베이터 층별 안내.


나는 39층이어서

38층 클럽라운지 층이나

41층 로비층에서

엘베를 한번 갈아타야 했다.


39층의 객실 이동용 엘리베이터 대기 장소.


클럽룸을 예약하였으므로

38층의 클럽라운지에서

체크인을 하였다.


라운지 직원분께서

전망좋은 객실을 드리려고 하는데

대신에 침대 옆에 큰 기둥이 한개 있는데

괜찮냐고 물어보셨다.


이 호텔 사방이 뚫려서

뷰가 딱히 나쁠 건 없을 것 같지만,

좋은 곳 주신다고하니

그냥 그대로 받아들이기로 했다.


방안의 큰 기둥은 좋은 것은 아니지만

사전에 이렇게 양해를 구해주시고,

객실이 좁고 기둥도 있는 거냐고 여쭤보니

객실 면적은 나쁘지 않은 편이라고 해주셔서

그 객실을 배정받는 것으로 했다


그렇게 도착한 3920호.


객실 모양이 다 제각각이라서

방 배정하기 힘들겠다는 생각이 젤 먼저 들었다.


들어가면 바로 전신거울이 있다.


복도 좌측에 옷장

우측에 욕실/화장실.


욕조 옆에 통유리창이 있지만

블라인드로 가릴 수 있다.


신도림 아파트 뷰 (광각)

신도림 고가도로 뷰(일반)


쉐라톤 서울 디큐브시티의 자랑, 야경(광각)

쉐라톤 서울 디큐브시티의 자랑, 야경(일반)


침실 분위기는 그냥 평범하다.


신축 아파트 모델하우스같이

누구하나 싫어하기 힘든

그렇다고 개성이 두드러지지는 않는

무난한 느낌.


좌측 협탁과 조명, 전화기.

우측 협탁과 조명, 시계.

다시 화장실/욕실로.


세면대 계수대는 1개.


그냥 무난한 느낌.


1회용 어메니티.


헤어 드라이어.


출력은 세지 않았으나

나름 자연바람? 나오는 모델.


흡입구 관리도 잘 되어있었다.


체중계.


세면대 옆 화장실.


비데가 없는 것은

예상 밖이었다.

욕조.


181.x cm의 성인 남성이

다리를 겨우 펼수 있는 정도이나

깊이가 나쁘지 않아서

전신욕이 가능하다.


샤워실.


처음에 물 트는 손잡이를 못찾았는데

우측 벽면에 별도로 있다.


샤워실 내 일회용 어메니티.


화장실/욕실 입구를 마주보고 있는 옷장.


저 유리에 붙인 패턴은

너무 싼티나보였다.


옷장 문을 열면

나름 나쁘지 않은 구성.


다리미.

다림질 판.


다리미와 판이 기본적으로 비치되어 있으면

다리미 세트 별도로 요청 안해도 되서

편하다.

소화기 및 기타 도구들.

슬리퍼.


옷장 서랍.


세탁물 서비스.


세탁물 서비스 가격이 만만치 않다.


캐리어 놓는 곳.


유료 스낵, 다기류, 커피머신, 생수.


물잔, 술잔, 찻잔 등

냉장고 미니바.


각종 안내문이 담긴 폴더와 TV 리모컨.


TV는 약간 구식 모델인 듯.


블루레이 플레이어도 있는듯.


책상.


책상옆 창문.


덩그러니 놓여있는

기둥 옆 의자와 테이블.


<총평>


조용한 혼자 호캉스를 원한다면

좋은 호텔인 것 같다.

특히나 현대백화점, 롯데시네마, 뮤지컬 극장 등

온갖 시설들이 다 갖춰진

컴플렉스 빌딩 안에 위치하고 있어서

이것저것 이용하기에 매우 편리했다.


객실의 시설이나 디자인은

눈이 휘둥그레질 정도는 아니지만

5성급 호텔로서의 기본기는 탄탄하는 생각이 든다.


뿐만 아니라

직원들의 서비스 수준도

5성급 호텔임을 부인할 수 없이

직원들의 응대가 우수했다.


쉐라톤 서울 디큐브시티 호텔은

내가 서울 호캉스에서 봤던

야경 중에 가장 좋았다.


주변에 이 호텔 클럽층만큼

높은 건물이 없기 때문에

시야를 가리는 것이 없고,

주변이 다 아파트 촌이라서

밤이 되면 고층 아파트들이 불을 밝혀주면

야경 분위기가 확 산다.


회사들이 모여있는 지역의 호텔은

직원들이 야근하지 않으면

이런 반짝이는 뷰를 볼 수 없으니까.


전반적으로 객실 경험은

화려하지 않았어도 편안한 느낌은 충분히 나서

만족스러웠다.


[호캉스 계획] 

호캉스 희망 호텔 가격 추적

(2018.07.29.~2018.09.02.)


호캉스를 가려면

호텔 검색이 필수.


오늘은 시간 여유가 좀 있어서

관심있는 호텔의 가격을 정리해보았다.


- Orbitz 회원가 기준으로 

세금 및 봉사료 포함 USD 결제 예상액

- 가격이 0으로 표시된 건 sold out되었거나 호텔이 해당 객실의 판매를 중단한 경우임 

- 검색일자: 2018.07.26.



항상 그렇듯이 

체크인 일자 기준 

토요일에 가격이 오르고

일요일부터는 평일로 간주되어 가격이 내려간다.


오늘이 7/26(목)이기 때문에

1-2주 정도 내에 호텔 가격은 상당히 올라있는 상태이다.

일부 스위트룸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평균가가 높지만

호텔마다 살펴보면 괜찮은 가격에 호캉스를 즐길 수 있는 곳도 꽤 있다.


부산 호텔들은 토요일에 거의 매진이 많다.

부산은 서울과 다르게 휴가철과 비휴가철의 가격폭이 매우 크다.

당분간 부산 호캉스는 자제해야할 듯.

힐튼 부산도 파라다이스 부산 호텔도

바다보러 가는 재미로 가는 호캉스니까

완벽한 오션뷰만 골라서 정리했다.


그러다보니 가격대가 더 높아진 것도 있지만,

그래도 힐튼 부산의 성수기와 비성수기 가격 차이는 너무 크다.


힐튼 부산, 겨울에 봅시다!!

이름이나 가격대에 비해서

내 스타일인 객실이 별로 없다.

동대문 뷰 디럭스 객실과 

이그제큐티브 룸의 하늘볼 수 있는 창문 있는 객실의 가격은

엎치락 뒷치락 한다.

그랜드 인터컨티넨탈은 약간 리노베이션이 필요한 느낌이라

면적이 넓은 프리미어 객실만 뽑았다.

클럽 룸은 토요일에만 판매하는 것 같다.

프리미어 객실만 예약한다면 가격은 상당히 안정적인 편.

그랜드 하얏트 서울은 일반 객실이 너무 좁다.

가끔 그랜드 스위트가 싸게 나온 것을 본 적이 있어서

그랜드 스위트만 찾아봤다.

뷰가 좋은 호텔이기는 하지만 서울에 있는 스위트치고는 작은편이라

면적대비 가격이 저렴한 건지는 잘 모르겠다.

르메르디앙 서울은 객실이 매우 많거나

객실 예약율이 항상 여유가 있는 것 같다.

가격변동이 많지 않다.

저 발코니 디럭스 룸에 발코니 면적이 포함된 것 같은데

발코니가 너무 넓어서 침실은 상대적으로 좁을 것 같아

항상 고민이 된다.

비스타 워커힐 호텔은 다른 룸은 관심이 없고

오로지 한강을 거의 180도 가깝게 볼 수 있는

주니어 스위트 코너룸만 노려보고 있다.

서울 외곽에 있는 호텔일수록 가격 편동폭이 크니

조금 더 기다려 보도록 하겠다.

신라호텔의 이그제큐티브 객실은 

매진이 된건지, 판매를 안하는 건지.

신라호텔이 생각보다 가격의 변동이 큰 편이라서

유심히 관찰하다가 싸게 낚아챌 수가 있다.

쉐라톤 디큐브시티는

전반적으로 가격대가 5성급 치고는 낮은 편인데

점점 평균 가격대를 다운 시키는 느낌이 있다.

스위트 객실이 생각보다 저렴한 호텔인데

스위트 객실이 그다지 호화롭지는 않아서

항상 고민을 하게 된다.

객실이 매진된 게 아니면

가격의 변동의 크게 없는 호텔이다.

콘래드는 토요일에 이그제큐티브룸을

판매를 안하는 것 같다.

sold out은 아닌 것 같은 느낌.

가격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편인 것 같다.

포시즌스 서울도 클럽룸의 판매가 

일정하지가 않은 것 같다.

내가 5월에 다녀왔을 때보다는

전반적으로 가격이 올라가 있는 상태.



<총평>

클럽/이그제큐티브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객실의 예약 가능성(availability)가 다소 떨어지는 것 같다.


내 추측으로는

각 브랜드 멤버십의 높은 티어를 달고

일반 객실을 이용하는 투숙객들이

라운지를 쉽게 채우기 때문에

객실 예약률이 높은 날짜에는

클럽/이그제큐티브 혜택이 있는 객실의 판매를

통제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최근 내 블로그에 유입 검색어 독보적 1위가

호캉스가 된 걸로 봐서는

여름휴가를 호캉스로 대신하려는 분들이 많은 것 같다.

그래서 전반적으로 호텔 가격도 상승한 듯.


이렇게 수요가 바짝 올라간 기간의

직전과 직후에

수요과 확 빠져서

저렴한 객실이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으니

꾸준히 가격 모니터링을 해보는 것이 좋겠다.



+ Recent posts